건설 기술/플랜트

[플랜트] 열원 시설(CHP, PLB), CTBD 개념

일년에 네다섯번 2022. 8. 21. 16:11
반응형

 

1. 열원시설(CHP, PLB) 비교

 

구분 열병합발전기(CHP) 첨두부하보일러(PLB)
개념 CHP : Combined Heat and Power  첨두부하보일러(Peak-time Load Boiler) 
: 난방열원 사용이 최대가 되는 시기(peak-time)를 첨두부하라고 하며, 주기기 열원 공급과 별도로 열원을 공급하는 보일러. 
HOB : Heat only Boiler(열전용 보일러)와 동일 개념
생산 방식 - 발전기 가동으로 열과 전기 동시생산 - 물을 가열하여 온수 또는 증기 생산
공급 방식 - 열 : 배관을 통해 수요처 공급
- 전기 : 전력시장 역송 또는 사용자 판매
- 열 : 동절기 열부하가 높을 때 공급
전력시장
기여 효과
- 분산형 전원(장거리 송전선로가 필요치 않음)으로 전력수급을 통해 전력시장 안정화 기여 -
환경개선 효과 - 이산화탄소 억제 및 환경공해 해소에 기여 -
연료비 - 연료비 낮음 - 연료비 높음
집단에너지
활용성
- 에너지이용효율이 높음
- 집단에너지사업의 주 열원으로 적합함
- 에너지이용효율이 낮으며 연료비가 높아 주 공급열원으로 부적합

※ 자료출처
삼천리 사업소개 홈페이지

 

삼천리

 

www.samchully.co.kr

 

 

 

2. 열병합 발전 계통

 

LNG 연료 ⇒ GT(가스터빈) ⇒ HRSG ⇒ ST(스팀터빈)


1. GT : 가스터빈을 통해 전기발전(1차 발전)

대기의 공기를 압축하여 밀폐된 용기내로 공급한 후 연료(LNG)를 분사시켜 연소되어 나오는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를 회전체인 터빈의 날개에 분사시켜 회전력을 얻는 장치.


2. HRSG(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배열회수보일러)
가스터빈의 배기가스를 HRSG로 통과시켜 열교환을 통하여 증기 발생,

발생된 증기로 증기터빈 구동
공해배출물은 석탄화력발전소 대비 40% 수준(친환경)

배기가스는 HRSG 후단의 연돌을 통해 대기로 배출됨.


3. 스팀터빈

증기를 이용한 발전기 구동
2차발전, 열공급

배열화수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회전축에 연결된 발전기에 의하여 전기 생산.

증기의 압력에 따라 고압, 중압, 저압터빈으로 각각 이동하며,  저압터빈을 통과한 증기는 복수기를 통하여 응축되어 물로   변환.


4. 축열조

열을 저장해두는 장치로 비상시 일정시간동안 열공급을 돕는 시설


5. PLB : 첨두부하보일러(Peak-time Load Boiler)
난방열원 사용이 최대가 되는 시기(peak-time)를 첨두부하라고 하며,

주기기 열원 공급과 별도로 열원을 공급하는 보일러.

 

 

 

 

 

3. CTBD(Cooling Tower Blow Down) 개념

 

 

개념

CTBD 폐수 재활용 계통은 냉각탑 배출수를 폐수처리조로 배출하지 않고, 재처리하여 냉각탑 보충수로 재활용하는 계통

 

 

목적


냉각탑 순환수의 증발로 인한 수질 농축도의 적절한 조절을 위하여

다량으로 배출되는 Blowdown수를

CTBD 재활용 계통에서 수처리 후

CTBD make up pump를 통해

다시 냉각탑 순환수로 보충함으로써 용수 사용량을 줄이고, 폐수발생량을 최소화

 

 

공정


CTBD수 저장조로 이송된 냉각탑 배출수는

한외여과기(UF, Ultra Filtration)에서는 부유물질 및 유기물질을 제거.

RO(Reverse Osmosis, 역삼투)막설비에서 양이온 및 음이온을 제거하여 

냉각탑 Basin으로 이송.

 

 

계통도

CTBD 계통도

 

 

반응형

'건설 기술 > 플랜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물의 환기설비 유형(1종, 2종, 3종)  (0) 2022.07.25
band